Where we are from matters: Heterogeneous impact of immigrants on firm environmental pollution
이나래 (싱가포르경영대학교 교수)
– summary –
본 논문은 지역사회의 결속력 약화가 기업 환경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미국 환경 보호국과 Census의 데이터를 접목하여 지역 사회에 인구통계학적 다양성의 증가로 공동체 의식이 낮아지고 결속력이 약화되면서 공장 별 독성 화학 물질의 배출이 증가함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규제 기관들의 관리 감독이 약해짐으로 인해 공장들이 제조 공정에서 생성되는 독성 화학 폐기물의 후처리를 줄이는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기업 환경 성과를 설명하는 기존의 이론들에 기초하여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첫째, Stakeholder theory에 의하면 지역 사회 주민들의 집단 행동과 압력이 기업들로 하여금 환경 친화적인 의사 결정을 하도록 한다. 지역사회의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결속력이 떨어져 효과적인 집단 행동을 도모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특정 기업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정책자들과 규제 기관들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둘째, Intrinsic motivation 이론에 의하면 기업 의사 결정자들의 개인적인 가치관이나 지역 사회에 대한 애착 등이 환경 친화적인 의사 결정을 하는데 영향을 끼친다. 다양성이 높은 사회에서 개인간의 신뢰와 공동체 의식이 약화되면서 구성원들의 지역사회의 공동 자원의 보존에 대한 의지도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되며 기업들은 생산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이를 악용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모델 (예: Instrumental variable approach)과 대체 샘플 등을 이용한 결과는 본 연구가 밝힌 지역 사회 다양성 증가와 기업 환경 성과의 관계가 특정 모델이나 샘플에 국한된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지역 사회는 기업 환경 성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이해 관계자임에 불구하고 지역 사회의 전반적인 인구 통계학적인 특성은 기존의 논문들에서 깊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지역 사회 구성원들은 집단 영향력을 행사하여 개별 기업들의 환경 성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지역 사회에 대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특히 본 연구는 인구 통계학적 특성 중 이민자 비중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지역 환경 정책과 이민자 정책은 포괄적인 관점에서 마련되어야 하며 특히 이민자들이 기존의 지역사회에 효과적으로 융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본 내용은 포스텍 기업시민연구소와 AKMS(한인경영학자협회)가 주관한 “제1회 Corporate Citizenship Research Award”에서 수상작으로 선정된 논문을 요약한 자료입니다.
제1회 Corporate Citizenship Research Award 수상소감
![]() |